65세 이상 장애인 145만명, “빈곤 완화 정책 가장 시급”



【에이블뉴스 이슬기 기자】65세 이상 장애인의 생활 여건이 비장애인보다 전반적으로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득과 돌봄, 사회관계 영역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한국장애인개발원이 세계 인구의 날(7월 11일)을 맞아 ‘통계로 보는 65세 이상 장애인’ 뉴스레터를 발간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뉴스레터는 보건복지부의 ‘2023년 노인실태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해, 65세 이상 장애인의 일상생활을 복지 욕구, 사회관계, 경제활동, 돌봄 등의 관점에서 비장애인과 비교 분석한 결과를 담고 있다.
65세 이상 장애인이 향후 우선적으로 확대되어야 할 노인복지정책으로 가장 많이 선택한 항목은 ‘빈곤 완화 지원(49.9%)’이었다. 이어 ‘보건의료 서비스(19.4%)’, ‘돌봄(요양) 서비스(15.4%)’ 순으로 나타났다.
2024년 기준 등록장애인 중 65세 이상은 145만 5782명으로, 전체 65세 이상 인구의 14.6%를 차지한다. 장애 유형은 지체장애(46.6%)가 가장 많고, 청각장애(25.3%), 시각장애(9.7%), 뇌병변장애(9.5%), 신장장애(3.5%) 순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장애인의 월평균 가구 소득은 약 211만 원으로, 같은 연령대 비장애인(약 292만 원)의 72% 수준에 불과했다.
혼자 거주하는 65세 이상 장애인은 39.4%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5세 이상 장애인의 사회적 고립도 비율은 26.3%로 비장애인(15.5%)보다 약 1.7배 높았다.
일상생활 지원 측면에서도 높은 의존도를 보였다. ‘식사를 준비하기 위해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42.4%, ‘교통수단 이용에 도움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37.3%였다. ‘일상생활에 타인의 도움을 받는 비율’은 77.3%에 달했으며, 이 중 ‘동거 가족의 도움’(39%)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장애인이 1년 동안 여가 활동에 참여(TV·유튜브 시청 및 라디오 청취를 제외)한 비율은 72.8%이다. 스마트폰을 활용하는 비율은 47.3%로, 비장애인(69%)보다 약 21.7%포인트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원 이경혜 원장은 “65세 이상 장애인은 고령과 장애라는 이중의 특성을 함께 지니고 있어 세심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통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고령 장애인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정책이 확대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개발원은 국내·외 통계자료를 장애 관점에서 재분석하여 정책 이슈 및 현황을 보여주는 KODDI 통계 뉴스레터를 정기 발행하고 있다. 뉴스레터 전문은 장애통계데이터포털(https://koddi.or.kr/stat)을 통해 볼 수 있으며, 구독 신청 시 이메일로도 받아볼 수 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출처 : 에이블뉴스(https://www.ablenews.co.kr)